95edd979-325d-4e8e-a4e6-ddee5d75e71d.png

 

6월13일 센터지하강당에서는, ‘기본부터 알아보는 상속과 증여라는 내용의

강의가 있었습니다

예전에는 상속과 증여라는 단어가 다른 사람의 일로만 보였으나, 이제는 아래와 같은 

이유로 우리는 더욱 관심을 가져야 하는 상황이 되었는데요.

한번 알아볼까요?

 

상속과 증여가 예전보다 더 부각된 이유는 여러 가지 사회적, 경제적 요인들이 복합적

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주요한 이유들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자산 불평등의 심화

부동산, 주식 등 자산 가격이 급등하면서 자산을 가진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 간의 

격차가 커졌습니다. 부모 세대가 축적한 자산을 자녀 세대에게 이전하는 과정이 계층 

고착화를 심화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상속과 증여는 부의 대물림 수단으로 더 많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2. 부동산 가격 급등

한국을 포함해 주요 국가에서 부동산 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부모 세대가 

가진 집 한 채만으로도 막대한 자산 이전이 가능해졌습니다.

자녀들이 자력으로 주택을 구입하기 어려워지자 부모 찬스”, 즉 증여와 

상속이 주택 마련의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습니다.

 

3. 조기 증여의 증가

증여세를 줄이기 위해 생전에 자산을 나눠주는 조기 증여 전략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부모 세대도 자산을 보유한 채로 사망하는 것보다는 세금 부담이 

덜한 시점에 자녀에게 이전하려는 경향이 늘고 있습니다.

 

4. 정부의 과세 강화 및 관심 증가

상속세와 증여세는 세수 확보의 중요한 수단이기 때문에 정부가 더 철저히 

관리하려 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세무조사, 세금 회피 논란, 절세 전략 

등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논의도 증가했습니다.

 

5. MZ세대의 재테크 및 자산 이전 관심 증가

MZ세대는 빠른 자산 형성을 원하는 경향이 있어, 상속과 증여에 대한 

관심이 큽니다. 부모의 자산 이전이 실제로 경제적 기회의 핵심 요인이 

되는 현실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습니다.

 

6. 고령화 사회 진입

고령 인구가 증가하면서 자연스럽게 상속이 발생하는 빈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부모 세대가 자산을 갖고 오래 사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계획적인 

자산 이전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 상속에 대하여

 

1) 우리나라 상속제도의 특징

. 유언상속의 우선원칙

. 균분공동 상속원칙

. 임의상속 원칙

. 상속인간의 형평성조절(특별수익, 기여분)

. 유류분제도(유언장에 의할 때)

 

2) 남겨진가족이 해야할 일

. 사망신고 상속재산조회 상속포기 기타재산정리 재산분할및 등기 상속세 신고.....

 

* 그리고 기타 유류분 청구, 법정상속순위, 특별수익과 기여분 그리고 

상속세율과 증여세율등(절세사례 포함) 이제는 시니어세대가 된 분들에게 꼭 필요한 

유익한 강의를 들었습니다. 이렇게 증여와 상속을 미리 준비한다면..

 

결론은, ‘미리 준비하면 세금줄고, 다툼줄고, 가족이 편하다!’입니다.어떠신가요

미리 준비할 만 하지요?

 

KakaoTalk_20250613_155815806.jpg
KakaoTalk_20250613_155815806_02.jpg
KakaoTalk_20250613_155815806_03.jpg
 

 

 

 

 

 

 

 

- 중장년 학습지원단 조 민 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