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이 필요한 페이지 입니다.
K-MOOC 50+적합 콘텐츠를 이용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아이디가 없으신 분은 회원가입을 하시기 바랍니다.
어떻게 쓰고 사는 것이 과연 행복을 위해 잘 쓰는 것일까를 자신에게 자문해 보는 것, 그리고 '돈 없이는 행복할 수 없을 것만 같은 불안감'을 이기고 '돈 없이도 뭔가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없는지'를 부단히 연구해 보는 것이 행복 근육을 키우는 데 필요하단 얘기다.
2018-05-25
SOMETHING FROM NOTHING>! 이 책은 우리 아들이 초등학교 때 영어 학원에서 빌려와서 알게 된 책이다.
2018-05-25
우리 50+는 연금의 종류와 각각의 연금이 갖고 있는 특색에 대해 잘 알고 활용함으로서 장수리스크에 대비하도록 하여야 한다. 기본적인 연금이라 할 수 있는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은 물론, 이들 3층 연금만으로 부족할 경우에 활용할 수 있는, 즉시연금과 주택연금 등에 대해서도 잘 이해하고 활용하여야 한다.
2018-05-24
사회공헌 활동의 기본적인 의미에 충실한 것도 좋지만, 사회공헌 활동을 하나의 ‘출구전략(Exit Strategy)’으로 상정해보는 것은 어떠할까?
2018-05-24
요즘 세대의 뇌 구조는 기성세대와 다르다. 그들의 7가지의 특징을 “이뤄질 일은 꼭 이뤄진다(Whatever will be will be)”는 의미의 스페인어 ‘케세라세라’의 머리 글자 QUESERA로 정리해본다.
2018-05-24
하체 튼튼하면 치매 걸릴 위험 낮아져 : 뇌 기능을 좋아지게 하는 방법 하나가 바로 운동이다. 운동을 하면 근육이 단단해지듯 뇌 기능도 활성화된다.
2018-05-24
집 주변에 있던 나무, 골목의 형상까지 다들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는 것을 보면서 공간이 가지는 의미를 다시 생각해 보았다.
2018-05-24
시간의 축적, 세월의 흔적을 고스란히 드러내 보이는 몸, 이 세상 끝날 까지 나와 함께할 몸, 그렇다면 과연 이 몸을 어떻게 살피고 보듬으면 좋을까요.
2018-05-24
사회공헌이란 기업과 관련된 이해당사자들이 요구하는 사회적 의무를 충족시키기 위해 수행하는 재정적 지원(현금기부) 및 비재정적 지원(현물기부, 자원봉사활동, 시설지원)으로서, 기업의 자산과 핵심역량을 사회에 투자하여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였다.
2018-05-24
침해받고 싶지 않은 자신만의 작은 공간조차 갖기 힘든 사회는 청년들을 변화시켰습니다. 갈수록 힘든 행복을 쫓기보다, <소확행>을 추구하며 마음의 근육을 다지려 합니다.
2018-05-24
보드게임형식의 툴킷으로 자신의 사업 아이템을 고객의 기준에 맞게 찾아들어갈 수 있도록 린스타트업 방식으로 창업 과정 시뮬레이션을 돌리는 등 어렵고 딱딱한 방식이 아니라 놀며 즐기며 게임처럼 재미있게 참여하도록 유도해 재미와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형식이었습니다.
2018-05-16
정년 퇴직한 사람이 지역에서 자원봉사를 하려 해도 아는 사람이 없어서 실천하기 어려운 게 현실이다. 이런 점을 해결한 좋은 사례가 있다. 자기가 현역 시절에 근무했던 기업이 하는 사회 공헌 활동에 참가하는 시니어 자원 봉사가 바로 그것이다.
2018-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