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강사가 간다➃] 서울 하천의 야생조류 만나기

-

 

서울에는 한강이 흐릅니다. 당연히 강에는 무수한 생명체가 살아갑니다. 한강과 그 지천에서 볼 수 있는 새들을 만나는 강좌가 있어서 함께해보았습니다. ‘50+강사가 간다’ 선정 강좌인 ‘서울 하천의 야생조류 만나기’입니다. 총 6회로 계획된 강좌는 두 번의 강의와 네 번의 현장체험으로 이뤄집니다. 첫 시간에는 탐조란 무엇인지를 영상으로 살펴봤습니다. 그리고 홍제천과 중랑천, 안양천과 한강으로 조류들을 만나러 나섰죠.

 

세 번째 시간인 중랑천 탐사에 함께 했습니다. 중랑천은 새를 볼 수 있는 좋은 곳이기도 하지만 석양의 풍광 또한 아름다워서 많은 시민들이 찾는 곳이라고 합니다. 응봉역을 빠져나가니 가을 물든 중랑천이 눈에 부셨습니다. 많은 시민들이 볕 좋은 오전 시간에 걷고 달리고 벤치에 앉아 휴식을 취하고 있더군요.

 

응봉역에서 중랑천으로 조류 탐사에 나섰다.

 

생태보전시민모임 팀장이자 이 강좌를 이끌어가는 신동근 님과 6명의 50+수강생이 탐사를 시작합니다. 먼저 망원경을 챙겨 준비작업을 합니다. 새들이 바로 눈앞에 있는 게 아니어서 조류 탐사에는 망원경이 필수적이네요. 카메라도 마찬가지입니다. 망원렌즈가 반드시 필요한 시간입니다. 얼핏 봐도 수강생들의 분위기가 아마추어를 넘어섭니다. 자세만으로는 프로 탐조단 못지않은 열정이 느껴졌습니다.

 

탐사에 앞서 망원경을 확인하고 있다.

 

중랑천은 철새보호 지역이기도 합니다. 청계천과 중랑천이 만나는 지점에서 중랑천과 한강이 만나는 지점까지 논병아리, 왜가리, 홍조롱이, 때까치, 백할미새, 흰뺨검둥오리, 넓적부리 등 다양한 철새들이 찾아와 서울시에서 처음으로 철새보호구역이 된 곳입니다. 중랑천과 이곳에 사는 조류들에 대해 잠시 이야기를 듣고 발걸음을 옮깁니다. 이동 중이나 탐사를 할 때 너무 밀착하지 말고 거리를 두자는 당부를 들으며 걷습니다.

 

코로나19 상황이 이어지면서 이제 거리두기는 자연스러운 행동이 되었다.

 

가장 먼저 민물가마우지가 날아오릅니다. 몸길이가 70-80센티미터인 가마우지는 물고기를 잡아먹는 물새입니다. 사냥을 잘하는 민물가마우지는 몸이 물에 젖기 때문에 큰 날개를 펴서 자꾸 몸을 말려야 한답니다. 온몸이 거의 검은색으로 보이지만 새들은 햇빛의 방향에 따라 조금씩 다른 색으로 보이기도 합니다.

 

민물가마우지는 먹이활동 중에 날개를 활짝 펴 말리곤 한다.

 

2004년까지만 해도 민물가마우지는 중랑천에서 한두 마리 발견될 뿐이었다고 하는데 현재는 한강에서 3천 마리 정도 확인될 만큼 늘어났습니다. 우리나라를 통해 이동하던 민물가마우지가 번식과 서식에 적합한 하천이나 저수지에 터를 잡게 되면서 이제는 텃새가 된 것으로 보인다고 합니다. 특히 밤섬에 가면 엄청난 가마우지 무리를 만나볼 수 있습니다.

 

멀리 있는 새들을 살피려니 자주 멈춰 서서 망원경을 들여다보게 된다.

 

새들이 저만큼 멀리 있다 보니 제대로 보기가 어렵습니다. 수강생들은 망원경으로 열심히 들여다보고 눈에 익히면서 사진을 찍습니다. 중랑천의 터줏대감이라는 흰뺨검둥오리와 유유히 놀고 있는 물닭들도 살펴봅니다. 흰뺨검둥오리는 우리나라 전역에서 볼 수 있는 텃새입니다. 하천에만 새가 있는 건 아니죠. 산책로를 따라 무성한 나무들 사이에서도 쉴 새 없이 새들이 재잘거립니다. 참새보다 쪼끄만 붉은머리오목눈이가 정신없이 날아다닙니다. 말 그대로 좌충우돌입니다. 잠시도 나뭇가지에 앉지 않고 순식간에 이리저리 날아다녀서 도저히 사진을 찍을 수가 없습니다. 새를 찍는 일 또한 엄청난 시간과 기다림을 필요로 한다는 걸 새삼 알게 되었죠. 새만이 아니라 꽃 이야기도 듣습니다. 크기와 모양이 비슷한 메꽃과 나팔꽃을 어떻게 구분하는지, 둥근잎유홍초와는 무엇이 다른지도 알게 됐네요.

 

물줄기를 따라 나무와 꽃 이야기도 덩달아 하게 된다.

 

신동근 님이 언젠가 일본에 갔을 때 한 할머니와 손녀가 동네 하천에서 오랫동안 민물가마우지를 탐색하며 메모를 하고 이야기도 나누는 걸 봤답니다. 가까운 곳에서 야생 조류를 탐조하는 일이 멀리 가지 않고도 즐길 수 있는 아주 좋은 레크리에이션이라는 생각을 했다고 하죠. 꼭 어딘가를 찾아가야만 하는 게 아니라 동네에서도 새와 꽃을 만나고 알아 가면 좋겠다는 바람으로 이번 강좌를 준비했습니다. 더욱이 서울에는 한강의 지천이 30여 곳이나 됩니다. 예전에는 상습 침수지역이라는 수식어로 뉴스에 등장하던 중랑천의 경우도 하천 정비를 통해 안전해지고 많은 철새가 찾아드는 곳이 되었죠.

 

상습 침수지역이라는 오명을 벗은 중랑천에 많은 시민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덕분에 멀리 나서지 않아도 여러 종의 새들을 관찰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신동근 님은 무엇보다 새를 만나는 일을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합니다. 그리고 처음 새를 만날 때는 자신만의 구별법을 찾는 게 좋다고 조언합니다. 예를 들면 새의 어떤 모습이 연예인 누구를 닮았다거나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몸이 엿가락처럼 길다거나 부리가 길고 뾰족하다거나 뺨에 어떤 색이나 무늬가 있다거나 기억에 도움이 되는 방법을 생각하는 겁니다. 취미활동을 하며 운동도 되는 야생조류 탐사, 꽤 괜찮아 보입니다.

 

새를 찍는다고 망원렌즈를 챙겨 갔지만 제대로 찍은 사진이 없다.

 

야생조류를 만나는 일은 걷고 바라보고 기다리는 일과 같은 말이었습니다. 야생조류 탐조를 통해 자연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이를 통해 자연과 사람이 함께 살아가는 세상을 실천하기 위해 필요한 것들을 고민하는 시간을 가집니다.”라고 소개하고 있습니다. 알면 보이고 보이는 만큼 사랑하게 된다고 하는데, 자연의 꽃이나 새들이나 마찬가지겠죠. 시간을 유익하게 보내면서 자연과 사람을 더 사랑하게 된다면 무척이나 좋은 레크리에이션임에 틀림없어 보입니다. 다음에 강좌가 개설되면 수강신청을 해보지 않으실래요?

 

 

 

 

 

 

 

[글/사진:50+시민기자단 이선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