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 바람이 불자 어느새 거리에 패딩점퍼를 입은 사람이 보인다. 쌀쌀한 바람을 막는 데 패딩만 한 게 없다. 패딩(Padding)은 속을 채워 넣는다는 뜻이다. 패딩은 옷감 사이에 다운이나 합성면, 솜을 채워 넣은 누비옷이다. 조선 시대에 추위를 막기 위해서 옷감 사이에 솜을 채워 넣었다. 이렇게 만들어보니 얼마 안 가 솜이 아래로 처지고, 뭉치기 시작했다. 그래서 옷감과 옷감 사이를 실로 촘촘히 고정하는 누비가 발전했다. 누비옷이 오늘날 패딩의 원조임 셈이다.  

 

이희숙.jpg
▲ 한복 만들기 취미에 푹 빠져있는 이희숙 씨가 열심히 재단하고 있다.

 

이희숙 씨는 20년간 한복을 만들어 왔단다. 20년간? 깜짝 놀라 한복 만드는 일을 하는지 물어보았다. 아니고, 옷 짓는 게 취미란다. 친구들과 어울려 그저 재미로 한다. 아직 남 앞에서 옷 만드는 경지는 아니라고 겸손을 보인다. 누비옷을 만들고 싶어 강서50플러스센터 ‘누비 배자 조끼 만들기’ 교육에 참여했다. 

 

배자교육.jpg
▲ 14명의 교육생이 배자 만들기에 집중하고 있다.

 

배자 조끼는 무엇일까. 조끼는 양복이 우리나라에 들어올 때 같이 들어온 옷이다. 단추는 있지만, 소매가 없다. 배자는 한복 저고리 위에 입는 덧옷으로 단추도 없고, 소매도 없다. 고름을 만들어 단다. 배자 조끼는 사실 어중간한 말이다. 배자 만들기가 정확한 말이다. 예전에는 배자 속에 너구리, 토끼 털을 넣어 가장자리에 털이 보이게 입었다. 

 

한복과 누비 만들기는 무슨 차이가 있을까? 규방 공예 전문가인 곽선경 강사는 “한복은 직선이나 이번 누비 배자 조끼는 조금 곡선으로 맵시가 나온다”라고 설명한다. 원래 한복은 평면적이다. 양복은 옷걸이에 걸어 보관하지만, 한복은 상자에 넣어 보관한다. 한복을 디자인할 때 보면 평면으로 한다. 실제 완성되어도 평면이다. 옷걸이에 걸지 않아도 양복처럼 구겨지지 않는다. 그런데 상자에 넣어 보관한 한복을 입으면 3차원으로 살아난다.

 

김정숙 씨는 치수를 재고, 종이에 제도를 잘했는데, 앞판과 뒤판이 다르다. 강사님께 들고 가 물어본다. “무엇이 잘못되었나요?” “앞판을 뒤판보다 길이를 조금 더 길게 해요. 왜냐면 여자는 가슴이 있잖아요. 그러니 그만큼 길이를 생각해야.” 그렇다. 한복은 평면으로 디자인하지만, 입으면 가슴까지 커버하는 3차원의 옷이 된다.

 

김정숙배미경.jpg
▲ 교육에서 처음 만난 두 사람이 오래된 친구처럼 보인다.

 

지켜보니 김정숙 씨와 배미경 씨는 아주 친한 친구인가 보다. 서로 다정히 상의하면서 그리고, 자르고 있다. “친구랑 함께 왔나 봐요.” “아니요. 여기서 처음 만났어요.” 처음 만난 사이도 취미가 같으면 이렇게 금방 친해지는가 보다.

 

배자 교육 첫 시간은 치수를 재고, 종이로 제도하고, 옷감과 실을 준비하는 과정이다. 옷감은 면이 바느질하기가 편하다고 한다. 비단은 하늘거려 초보자는 바느질하기가 쉽지 않다. 실은 조금 굵으면 장식 효과를 줄 수 있다. 동대문 시장에 가서 준비하라고 친절히 알려 준다.

 

솜을 나누어주면서, 2주 동안 침대 매트 밑에 깔아 놓으라고 한다. 이왕이면 무게가 좀 더 나가는 남편 밑에 두라고 한다. 둘러보니 참가한 교육생 14명이 전부 여성이다. 이런 교육에도 남자 한두 분은 오는데 배자 조끼는 아직 아닌가 보다.

 

누비 바느질을 하면 솜이 움직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바느질 선 사이 공간에 공기를 품어 보온성이 뛰어나다. 전통 누비도 배우느냐고 수강생이 묻자, 곽선경 강사는 전통 누비는 어렵다고 한다.

 

한국 전통 누비는 누비장이 지정될 정도로 역사와 예술이다. 평면적인 단조로운 옷감 위에 새로운 입체적인 형태를 창조해낸다. 연구도 활발하다. 배자만 만드는 게 아니라 가방 등 공예품을 만들어 한국 전통 예술품으로 판매하고 있다.

 

 

50+시민기자단 남영준 기자 (bransontiki@naver.com)

 

 

남영준.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