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은 도구다 

“행복은 기나긴 인고 끝에 만나야 하는 목표가 아닙니다. 행복은 도구예요. 행복이란 인생의 궁극적인 목표나 생을 마감하는 어느 순간에 최종적으로 도달해야 하는 상태가 아니라 오늘 하루하루에도 마땅히 느껴야 하는 것입니다.” 김경일 교수 말이다.

 

우리는 행복을 곧잘 목표로 떠 올릴 때가 있다. 행복을 너무 거창하게 생각하지 말아야 한다. 오늘 우리가 소소하게 느껴야 하는 도구일 뿐이다.

 

‘「적정한 삶」 균형 잡힌 삶이 역량이 되는 시대’라는 제목의 강연이 11월 1일 오후 2시 30분, 서울시50플러스 서부캠퍼스 4층 두루두루 강당에서 진행되었다. 강사는 인지심리학자 김경일 교수다. 주관은 은평구 심리지원센터 다독임이다. 은평구 중장년들을 위한 심리지원특강을 준비했다. 유튜브 강연 영상, ‘어쩌다 어른’ 등에서 많이 그리고 자주 봐 왔지만, 필자가 직접 김 교수의 강연을 들으니 더 와 닿는 게 많았다.

 

1.jpg
▲ 적정한 삶 강좌가 열린 강당은 더웠다. ⓒ 50+시민기자단 김인수 기자

 

많은 사람들이 언제 죽을지도 모르고 언제 그 지점이 오는지도 모르는데 행복이라는 걸 멀리 밀어낸다. 행복은 늘 저기 어딘가 멀리 있다고 여기는 걸 지적하고 있다. 우리는 동화극 ‘파랑새’를 통해 행복이 멀리 있지 않음을 익히 알고 있으면서도.

 

행복은 빈도다

더불어서 “행복은 기쁨의 강도가 아니라 빈도다”라고 말한다.

심리학 용어 ‘부킹 프라이스(BOOKING PRICE)’가 있다. 내 마음의 장부에 기입할 수 있는 최소 가격이란 뜻이다. 즉, 내가 받았다고 인정하고 만족하는 최저 금액인 것이다. 

세배를 하니 할아버지께서 500원을 주셨다. 이걸 세뱃돈으로 인정할 아이가 있을까? 돌잡이도 동전이 아니라 신사임당을 집어 들지 않을까. 상대가 마음의 장부에 기입할 수 있는 최소금액, 500원이 아닌 상대가 인정하는 금액이 부킹 프라이스다. 세뱃돈으로 500원을 준다면 자칫 짠 사람이라 낙인 될 수 있으니 반드시 부킹 프라이스를 뛰어넘는 금액을 줄 수 있어야 한다. 

 

그렇다면 누군가에게 100만 원을 줄 때, 한 번에 주는 게 나을까? 두 번에 쪼개 주는 게 나을까? 한꺼번에 주는 것보다 50만 원씩 두 번으로 나누어 주는 게 더 심리적으로 만족스럽다고 한다. 인간은 큰 혜택을 한 번에 얻는 것보다 작은 혜택을 여러 번 느끼는 것을 더 좋아하기 마련이란다. 그러니 손주에게 용돈을 줄 경우 손주가 생각하고 있는 부킹 프라이스를 알아내 그 금액 이상을 줘라. 그것도 자주. 그래야 넉넉한 할아버지 할머니로 기억될 수 있다. 그렇다고 100만 원을 1만 원씩 100번에 걸쳐 나눠 주겠다는 생각은 버리자. 너무 잘게 쪼개면 부작용이 생긴다.

 

2.jpg
▲ 사인을 받아 들고 매우 흡족해하는 필자. 이게 행복이다. ⓒ 50+시민기자단 정용자 기자

 

사소한 습관, 큰 용기

우리는 큰 행복과 작은 슬픔은 기록한다. 하지만 작은 행복과 큰 슬픔은 기록하는 이가 적단다. 작은 행복을 기록하기 위해서는 사소한 습관으로 이어져야 하고, 큰 슬픔을 기록하기 위해서는 용기가 필요하단다. 기록하면 강해진다고 김경일 교수는 강조한다. 75%가 음식 먹은 이야기요, 달랑 두 줄 일기로 쓰인 ‘난중일기’를 예로 들면서. 어쨌거나 크건 작건 행복과 슬픔을 노트에 또는 핸드폰에 적어 볼 만하겠다. 점점 내 기억이 지워지고 있기도 하니.

 

찾아온 마음의 상처 어찌해야

신체적으로 다쳤을 때 병원을 가고, 약을 처방받는다. 때론 수술을 하며 치료를 한다. 하지만 마음이 다쳤을 때는 어떻게 하나? 결연한 결심으로 버티려 할 뿐이다. 이 또한 지나가리라 하며 이 순간을 모면하려 할 뿐 아닐까.

 

상대가 휘두른 흉기에 내 마음과 정신이 상처를 받았는데, 거짓과 배반, 이기심과 권모술수, 가식적인 사람에게 부러지고 찢긴 내 마음과 정신! 부여잡고만 있어야 하는가. 치료해야 마땅하지 않겠나?

 

3.jpg
▲ 중장년이 균형 잡힌 삶을 영위하려 공부 중이다. ⓒ 50+시민기자단 김인수 기자

 

신체적 통증을 받았을 때나 마음이 다쳤을 때 통증 부위를 관장하는 뇌의 특정 영역 반응이 같다고 한다. 우리 뇌는 육체적 고통과 정신적 통증을 동일하게 느낀다니 심리적 고통을 느낄 때도 진통제 펜잘, 게보린, 타이레놀 먹어야 한다며 마음의 상처 치료 방법 세 가지를 김 교수가 알려준다.

 

첫째, 좋은 음식 먹기.

자기 자신을 최우선으로 잘 대해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무언가와 이별했을 때 포장마차에서 초라하게 소주잔을 기울이며 아픔을 곱씹는 게 아니라 커다란 크리스털 잔에 괜찮은 술을 따라 놓고 자신을 폼나게 해야 하는 거라 이해했다.

 

두 번째, 몸의 혈액을 순환시킬 수 있게 하라.

반신욕, 마사지 기기 또는 사람에게 몸을 맡겨 체내 혈액이 잘 돌 수 있게 해야 한다는 거다. 가벼운 전신운동에 대해 말하지는 않았다.

 

세 번째, 잠을 푹 자라.

불면에 시달리는 것은 첫 번째와 두 번째 방법을 충실히 그리고 충분히 해주지 않았기 때문이란다. 폼나게 양질의 음식을 잘 먹고 혈액순환 잘 시키면 잠도 잘 잘 수 있어 다친 마음 치유가 빨라질 수 있겠다.

 

이렇게 심리적으로 다쳤을 때 자신을 최우선으로 대하며 진통제를 먹어야 한다며 이를 ‘심리적 심폐소생술’이라 알려준다.

 

4.jpg
▲ 이별과 교통사고의 통증을 같게 느끼는 뇌를 설명한다. ⓒ 50+시민기자단 김인수 기자

 

자신은 그 무엇에 우선해서 자신이 존중해주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서 타인이 자신을 존중해주길 바라는 건 모순이다. 자책하지 말고. 그래야 보다 긍정적인 시선으로 세상을 볼 수 있지 않을까. 세상에는 비록 내가 좋아하지는 않지만 그런 사람과 함께 지내야 할 때가 있다. 이때 그가 나에게 도움이 되는 상보관계가 될 수 있음을 이해하고 지혜롭게 살아갈 수 있길 주문해본다. 진통제 한 알 챙겨 들고.

 

 

50+시민기자단 김인수 기자 (kisworld@naver.com)

 

 

김인수.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