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문화를 대표하는 문화재가 많다. 그중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바로 고려청자가 아닌가 싶다. 그런데 근래 들어 대중적으로 사랑받으며 우리 곁에서 존재감이 부각되는 문화재가 있다. 바로 ‘달항아리[白瓷大壺]’다. 지난 2018 평창동계올림픽 성화대 역시 백자 달항아리 형상이었던 것을 보면 달항아리에 대한 전 국민의 사랑이 얼마나 넓게 자리 잡고 있는지가 짐작된다. 놀라운 변화가 아닐 수 없다.(주해: 1. 대호: 큰 항아리. 높이가 40cm, 폭이 40cm 이상이어야 한다. 2. 백자를 白瓷 또는 白磁로 표기한다. 白磁는 일본식 표기이며, 도자기가 중국에서 유래된 점을 감안해 白瓷로 표기한다)

 

일본 소장자가 내놓은 백자 달항아리, 서울옥션 홍콩 경매에서 약 24억6000만 원에 낙찰(2018.5.) (수수료 제외) 최대 지름 46cm, 높이 45cm, 18세기 중반


공식 학명(學名)이라고 할 수 있는 백자대호(白瓷大壺)에 처음으로 ‘달항아리’라는 정겨운 이름을 붙인 분은 그 유명한 미술사학자 우현(又玄) 고유섭(高裕燮, 1905~1944) 선생이다. 달을 품었다는 뜻이다.그리고 달항아리를 글과 그림으로 일상생활 속에서 친숙하게 끌어안은 대표적인 인물은 화가인 수화(樹話) 김환기(金煥基, 1913~1974) 선생이다. 수화 선생은 그 어렵던 1950년대 시절, 달항아리를 고미술상에서 구입하고 돌아오는 귀갓길에 흥겨워하던 모습을 글로 남겼다. 선생의 작품에 달항아리 모티브가 여러 차례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달항아리를 무척 사랑한 것 같다. 그의 안목에 감탄사가 절로 나온다. 최근 서울옥션 홍콩 경매에서 약 24억6000만 원에 낙찰된 달항아리는 18세기 중반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자태에서 푸근함의 아름다움을 볼 수 있다. 비대칭에 살짝 기울어진 모습에 광채가 없는, 즉 무광무색(無光無色)의 순수함이 느껴진다. 1964년, 우리의 백자 달항아리를 미술사학자 삼불(三佛) 김원룡(金元龍, 1922~1993) 선생이 드라마틱하게 논한 시구(詩句)가 많은 것을 말해준다.

 

 

백자대호(白磁大壺)_김원룡
조선백자(朝鮮白磁)의 미(美)는/ 이론(理論)을 초월(超越)한 백의(白衣)의 미(美)/ 이것은 그저 느껴야 하며/ 느껴서 모르면/ 아예 말을 마시오/ 원(圓)은 둥글지 않고/ 면(面)은 고르지 않으나/ 물레 돌리다 보니/ 그리 되었고/ 바닥이 좀 뒤뚱거리나/ 뭘 좀 괴어놓으면/ 넘어지지 않을 게 아니오/ 조선백자(朝鮮白磁)에는 허식(虛飾)이 없고/ 산수(山水)와 같은 자연(自然)이 있기에/ 보고 있으면 백운(白雲)이 날고/ 듣고 있으면 종달새 우오/ 이것은 그저 느껴야 하는 백의(白衣)의 민(民)의 생활(生活) 속에서/ 저도 모르게 우러나오는/ 고금미유(古今未有)의 한국(韓國)의 미(美)/ 여기에 무엇 새삼스러이/ 이론(理論)을 캐고/ 미(美)를 따지오/ 이것은 그저/ 느껴야 하며/ 느끼지 않는다면/ 아예 말을 맙시다.

 

달항아리를 보면 무심(無心)의 예찬이 저절로 나온다.

 

이성낙 bravo_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