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예천 초간정 원림

초간정(草澗亭) 원림(園林)을 찾아 길을 나선다. 경북 예천군 용문면 죽림리에 있다. 햇살이 따갑다. 매서운 폭염이다. 그러나 땡볕을 먹고 여름꽃이 피고 과일이 실팍하게 여무니 해를 향해 눈총만 쏠 일 아니다. 접때엔 물 폭탄처럼 장대비 내렸다. 장자 말하길, 자연은 자애롭지 않아 만물을 하찮게 여긴다 했던가. 폭우도 폭염도 무심한 자연의 순행(順行)이다.


초간정 원림에 들어서자 솔숲이 펼쳐진다. 뙤약볕 아래 솔은 푸르다. 대낮 천지가 밝아 초록 솔잎들 한결 환하다. 실바람조차 없어 미동 없이 고요한 소나무들. 외양은 그러하나, 쏟아지는 햇볕에서 양분을 취하는 솔의 내장기관엔 1초의 정지도 없을 것이다. 겉으로 푸르디푸르게 양양하고, 안으로 마당쇠처럼 분주한 저 여름 소나무들. 저마다 꼿꼿한 지체로 개결하다. 비가 오나 눈이 오나, 무서리를 뒤집어쓰거나 불볕이 내려치거나, 언제 어디서나 늘 푸르른 소나무. 해서, 선비정신의 표상이다. 푸른 갓에 푸른도포를 걸친 소나무의 의연한 모습에서 옛사람들은 선비의 풍모를 읽었다. 그래서 소나무를 학자수(學子樹)라 일컬었다. 공자는 문필수(文筆樹)라 불렀다. 대나무, 매화나무와 더불어 ‘세한삼우(歲寒三友)’로 통했다.

 

선비란 어떤 사람인가. 수기(修己)를 일삼은 존재였다. 마음과 학문을 갈고닦아 세상에 이롭게 쓰이기를 갈구한 사람이었다. 목에 칼이 들어올지언정, 권력의 농간을 가만히 두고 보지않고 살기를 미션으로 삼은 사람이었다. 지식을 채우고, 기개를 돋우기 위해, 참된 선비는 쉼없이 공부를 했으며, 지독하게도 노년마저 공부에 바쳤다. 보라, 여기 초간정에도 조선 선비가 살았다. 곧은 선비정신이 깃들어 숨 쉬는 정자다. ‘대동운부군옥(大同韻府群玉, 보물 제878호)’, 이는 조선조의 저작 중 매우 독특한 명저다. 이 나라 최초의 백과사전인 이 책은 단군 시대부터 조선 중기까지의 지리, 역사, 인물, 문학, 식물, 동물등을 망라, 운별(韻別)로 분류 수록했다. 전거(典據)의 충실성과, 민중 중심적 시각으로 일찍부터 그 학문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편찬자는 초간 권문해(權文海, 1534~1591). 초간 선생은 벼슬에서 물러난 뒤 초간정을 짓고칩거, ‘대동운부군옥’을 완성했다. 책을 집필하며 조선 지식인들을 통절히 질타했다. 중국의 역사엔 밝으면서 조선의 일엔 아둔하다고. 원림엔 소나무 외 느티나무, 팽나무, 단풍나무, 참나무 등속이 함께 어울려 숲을 이룬다. 숲의 안통으로는 계류가 여울져 흐른다. 물소리 찰랑이는 계곡 바위 벼랑 위에 초간정이 있다. 조촐한 규모와 단아한 태로 질박하고 곱살한 운치를 자아내는 정자다. 온돌방 하나를 중앙에 조성해둔 건 애초 정사(精舍)로 쓰여서겠지. 초간선생은 이곳에서 드시고 마시고 주무시며 집필에 임했다. 정사였다지만 계자난간(鷄子欄干)을 두른 대청이 누마루처럼 후련하다.

 

 

차경(差境)이라 하지. 마루의 열린 공간으로 정자 바깥의 자연 풍광이 렌즈로 당긴 듯 끌려 들어온다. 솔숲이 정자 내부로 들이치고, 숲 너머 산이 들어오고, 산 걸린 하늘 자락까지 스며든다. 마루 아래로 눈을 던지면 솰솰 굽이치는 계류가 청신하다. 공부면 공부, 집필이면 집필, 쉼이면 쉼, 풍류면 풍류, 초간 선생은 이곳에서 누릴 것 다 누렸을 게다. 그러나 여한 없이 누릴 걸 다 누리는 삶이 있던가? 눈시울 적실 일이 한둘이던가? 선생의 비통한 글 한귀가 가슴에 아리다.

 

‘그대, 상여에 실려 그림자도 없이 저승으로 떠나니, 나 이제 어찌 살란 말이오. 상여소리 한 가락에 구곡간장(九曲肝腸) 미어져, 차마 슬퍼할 말을 찾지 못하겠네.’

상처(喪妻) 뒤 선생이 ‘초간일기(草澗日記)’에 남긴 글이다. 사별이란 아파세상의 모든 별들이 저문 듯 암담해진다. 정녕 보내지 않았음에도 훌쩍 떠난 사람의 그림자라도 잡으려고 발버둥 쳐보지만, 이미 부질없다. 제아무리 의연한 선생이라지만, 슬픔에 사무쳐 갈피없이 흔들렸을 테지.

 

박원식 소설가

사진 주민욱 사진작가(프리랜서) bravo_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