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사랑했던+도시들에게.png

 

이름만으로도 가슴을 설레게 하는 스칸디나비아 반도의 오슬로는 거의 천년에 가까운 북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다. 숙소 창문의 커튼을 걷고, ‘칼 요한스거리를 내려다본다. 어둠의 시간을 한 움큼 훔쳐온 것일까. 백야의 도시는 자정이 되어도 잠자리 날개처럼 투명하다. 하얀 듯 푸른 듯 북극의 밤은 낮보다 멋스럽다. 여름 밤, 별도 달도 없는 노천카페에 모인 사람들과 난생처음 만난 백야의 풍경은 어릴 때 읽은 북유럽 동화처럼 낯설고 신비롭기까지 하다.

 

 

국립미술관_500.jpg
 

지도 한 장을 들고 뭉크의 예술혼이 담긴 노르웨이 국립미술관으로 향했다. 그가 남긴 일기에는 숨을 쉬고, 느끼며, 아파하고, 사랑하는, 살아있는 존재를 그려야 한다고 쓰여 있었다. 그래서일까. 핏빛으로 물든 하늘과 검푸른 해안선, 온몸을 떠는 한 인간의 소리 없는 아우성이 내 마음을 흔들었다.

 

인생이 그렇다. 덧없이 세월을 흘려보내면서도 나는 가끔 가당치도 않은 기다림을 꿈꿀 때가 있다. 그런 날이면 빌려온 밤의 시간을 펼쳐놓고 하얗게 지새운다. 놓지 못하는 꿈을 찾아 밤새 떠돌기도 하고, 사라지는 것의 아쉬움을 간직하려 몇 줄의 글을 남기곤 한다. 새로운 시각도 빛나는 감성도 없이 쓰는 일에 덤벼든 까닭은, 불쑥불쑥 밀려드는 허무의 순간을 건너가려는 내 나름의 방편이다.

 

뜬 눈으로 하룻밤을 보내고 비겔란조각공원을 찾았다. 비겔란의 수많은 작품 중에서 가장 눈에 띤 것은 높이가 약 17m에 달하는 화강암 조각상 모노리트(Monolith)라 불리는 돌기둥이었다. 멀리 입구에서 보면 그저 커다란 기둥처럼 보였지만, 가까이 가보면 121명의 남녀가 엉켜 괴로움으로 몸부림치는 형상이었다. 비겔란은 삶의 욕망과 투쟁을 화강암 기둥 하나에 함축시켜 놓았다.

 

 

비겔란공원+클라리넷연주자_500.jpg
 

뭉크와 비겔란 사이에서 마음이 뒤채고 있을 즈음, 어디선가 낯익은 멜로디가 귀에 들렸다. 우는 아이를 달래는 여인의 조각상 앞에서 한 남자가 클라리넷으로 솔베이지 노래를 연주하고 있었다. 소소한 그리움의 기억을 증폭시키는 클라리넷의 신묘한 음색 때문이었을까. 나는 잊고 지냈던 까마득한 시간 속으로 순식간에 빠져들었다.

 

대구 동성로 골목에 있던 고전음악감상실 '하이마트'를 갔을 때였다. 그때 처음들은 클래식 음악이 그리그의 솔베이지의 노래였다. 안개 속을 걷는 것처럼 하루하루가 불안했던 스무 살 시절, 단번에 꽂혔던 곡이었다. 음악이 끝나고 난 뒤 나는 그에게 용기를 내어 물었다.

 

제목이 뭐꼬?”

이게 솔베이지의 노래라 카는 거다.”

 

동글동글한 얼굴과는 달리 저음의 목소리가 왠지 든든하게 느껴졌던 친구였다. 그날은 감미로우면서도 애틋하고 짜릿하면서도 안타까운 설렘의 시간으로 내게 남았다.

 

노르웨이 작곡가 그리그의 나라에서 솔베이지 노래를 듣다니…….’

클라리네티스트(Clarinetist)는 한 인간의 생애를 연주로 풀어 놓는다솔베이지는 긴 세월 남편을 그리워하며 기다리다 백발의 노인이 되어서야 서로 만난다아내 솔베이지의 무릎에 누워 조용히 눈을 감은 남편을 위해 솔베이지는 마지막 노래를 부르며 남편을 따라 숨을 거둔다슬픈 사랑이다.

 

 

오슬로의+노을_800.jpg

 

 

그 겨울이 가면

봄이 오고

또 겨울이 가면

봄이 오겠죠.

그리고 여름이 오고

한 해가 가고

또 한 해가 저물겠지요.

 

쉰이 되던 해에 시작한 나의 클라리넷 연주는 여전히 제자리걸음이다. 나는 언제쯤 따뜻한 숨소리를 담아낼 수 있을까. 봄이 가고…… 한 해가 가고…… 또 겨울이 가면 가능할까. 내게는 아직 아득히 멀기만 하다. 솔베이지의 긴긴 기다림처럼, 간절하게 사랑할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면서도 언제나 마음만 바쁘다. 푸르던 시간들은 아무도 모르게 조금씩 닳아지고, 그림자도 안 남긴 채 홀연히 사라진다. 뭉크도, 비겔란도, 솔베이지도, 나의 옛 친구도 알고 있었을까. 저 투명한 밤이 끝내 어두워지지 않는다는 것을!

 

나는 여행 가방 속에 들어있던 클라리넷을 꺼내 들고 칼 요한스’ 거리로 난 작은 발코니에 선다. 바람이 분다. 내 몸의 아득한 어디쯤에서 하얀 밤을 밀어내는 긴 숨이 생겨나 얇은 리드를 타고 허공으로 번진다. 어둠은 여전히 당도하지 않고 어스름한 밝은 빛이 천지간에 가득하다.


50+에세이작가단 김혜주(dadada-book@naver.com)



 에세이작가단_명함_김혜주_(4).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