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이 필요한 페이지 입니다.
K-MOOC 50+적합 콘텐츠를 이용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아이디가 없으신 분은 회원가입을 하시기 바랍니다.
그동안 몸담았던 조직에서 나온 퇴직자 중에 불안과 우울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아이들을 다 교육시키지도, 노후를 충분히 준비해놓지도 못했는데 자신을 불러주는 곳은 없기 때문이다. 앞으로 살아갈 날들에 대한 기대가 없다면, 우리의 삶은 어떻게 될까? 아마 사람들은 살아야 할 이유를 찾지 못할 것이다. 똑같은 일상이 반복되는 권태야말로 절망에 이르는 병이다. 그것은 동물에게도 마찬가지다.
2019-01-07
대부분의 신중년들은 살아온 시간만큼이나 연말연시에 많은 친목모임 때문에 시간을 할애한다. 그런 모임에서는 앞으로의 삶에 대한 대화도 많기 때문에 대부분의 신중년들에게 ‘앞으로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라는 생각의 문을 열어준다.
2019-01-07
연극 '오아시스 세탁소 습격사건'(김정숙 작, 권호성 연출)의 성적이다. 2003년 초연 이후 15년간 꾸준히 무대에 올려진 이 연극은 중학교 국어 교과서(미래엔, 챈재교육, 금성출판사)에 수록되었고, 영화로도 제작되었다. 매섭게 추운 저녁에 극장을 찾은 날, 그 명성답게 객석은 만원이다.
2019-01-02
50+세대가 되었다고 미리 겁먹지 말자. 인생은 60부터라는 말처럼 60+ 혹은 70+가 되어 내 생애 최고의 순간이 기다리고 있을지 모른다. 아직 오지 않은 최고의 날을 위해 여전히 목표를 세우고 열심히 살아볼 일이다. 오늘도 나는 기대에 찬 마음으로 문 밖 세상을 바라본다. 아직 오지 않은 내 생애 최고의 순간을 기대하며.
2019-01-02
곳곳에서는 연말정산과 마무리 파티에 12월이 부산스럽다. 오늘도 ‘50+컨설턴트 전체모임’ 취재차 공덕동 언덕을 오른다. 생각해보니 앙코르커리어특강, 피티데이, 50더하기 포럼, 커뮤니티모임, 이음축제, 인생학교,.... 이런 저런 이유로 50+ 중부캠퍼스를 자주 드나들었다. 아직 젊은 시니어인데도 언덕길이 살짝 힘에 부친다. 세월은 몸이 먼저 안다더니, 공덕동 언덕을 운동 삼아 오르락 거리다보니 어느덧 2018년 말이다.
2019-01-02
새해가 되면 환갑이다. 올 한 해 가장 많이 품고 다닌 말이 ‘남은 날을 무엇을 하며 살지?’였다. 1막은 이미 지나왔고 남은 날은 많고, 연극이 끝나버린 객석에 혼자 남겨진 기분이다. 어쩐지 내내 쫄보 느낌을 떨 칠 수가 없다. 여기저기 기웃거리다 보니 증상이 비슷한 환자? 동지들이 심심찮게 보인다. 몇 마디 건네니 딱! 내 이야기를 그들도 똑같이 하고 있다. 하루 이틀 만나서 생각을 나누다가 동병상련의 긴 이야기를 하고자 2주전에는 1박 2일로 2018 하반기 워크샵을 다녀왔다.
2019-01-02
“시시한 인생은 없다. 모든 이의 삶의 이야기가 인생이고 우리 역사의 한 부분이다.” 어느 정도 세월을 살다 보니 딱히 이런 말을 인용하지 않아도 삶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을 듯합니다. 가슴속 깊이 묻어두었던 감정과 생각을 한 올 한 올 풀어놓는 당신께 응원의 박수를 보냅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듣다보면 경계와 불안의 염려는 이슬처럼 사라집니다. 나지막이 들려오는 당신의 속내 이야기는 우리 모두에게 큰 울림으로 메아리칩니다.
2019-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