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이 필요한 페이지 입니다.
K-MOOC 50+적합 콘텐츠를 이용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아이디가 없으신 분은 회원가입을 하시기 바랍니다.
사람에 대한 공부를 하고, 관습이나 자기중심적인 인식을 바꿔나가려 하는 마음이 있다면 얼마든지 이웃들과 더불어 즐거운 공동체의 삶을 누릴 수 있을 것이다.
2018-10-19
‘자동차 왕’으로 불리는 헨리 포드(Henry Ford)가 80세 생일을 맞아 열린 축하연에서 “당신이 일생 동안 이루어 놓은 훌륭한 일들 가운데, 가장 크고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일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받고 단 1초의 망설임도 없이 이렇게 대답했다고 합니다. “그야 물론 나의 가정입니다.”
2018-10-19
빌딩 8층, 엘리베이터 문이 열리고 기자가 들어선 곳은 전망 좋은 카페 같았다. 한강변 지류의 리버-뷰는 아니지만, 잔잔한 스트림-뷰와 탁 트인 시야가 시원스럽게 눈에 들어왔다. 이곳은 소셜캠퍼스 온(사회적기업 성장지원센터)에 30여개 기업이 입주해 사용하고 있는 공유공간이다. 이곳에서 <굿잡 5060> 프로젝트 1기 교육 수료 후, 재취업에 성공한 노유진(커리어투어 팀장/인재개발팀)씨를 만났다.
2018-10-10
9월은 하늘이 청명하고 해가 길어서 '폐사지(廢寺址) 가기 좋은 달'이라고 나름 그럴듯한 논리로 지인들을 부추겨 원주 인근의 폐사지로 향했다. 폐사지 기행은 늦가을이 좋다며 봄부터 미뤘지만 하루라도 빨리 가고 싶은 마음에 부러 인내심을 바닥내며 길을 재촉했다. 감은사지, 미륵대원지 등등 제법 여러 곳의 폐사지를 보았지만, 남한 강변의 폐사지를 보지 못했으니 폐사지를 안 본 것이나 다름없다는 궤변으로 일행을 독려했다.
2018-10-10
영화 <어바웃 타임>을 보면 사방이 컴컴한 암전카페가 나온다. 남녀 주인공은 암전카페에서 옆 테이블에 앉아 얼굴도 모른 채 목소리만으로 대화를 나누다가 입구에서 만나기로 약속한다. 남자 주인공이 먼저 나와서 여자 주인공을 기다리는데, 그 얼굴에 어떻게 생겼을까 궁금해 하는 온갖 표정이 나타난다. 잠시 후, 담 모퉁이에서 살짝 고개를 내밀며 나타나는 여자 주인공의 호기심어린 얼굴과 드디어 만나게 된 두 사람의 미소. 영화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장면이다.
2018-10-10
코번트리 지방에는 실존 인물이었던 고다이버 부인(Lady Godiva)에 얽힌 설화가 있다.
2018-10-08
나이 드는 게 겁나지 않은 노년들을 <노년은 아름다워>에서 만났다. 생애문화연구소 '옥희살롱'의 대표인 저자 김영옥은 당당하게 나이 들어가는 여러 노년들을 이 책에서 소개하고 있다. 외모지상주의의 관점 아래서 노년은 분명 추한 인간이다. 노년은 느리고, 둔하고, 더러는 나이를 앞세워 무레하다보니 어느덧 사회에는 노년 혐오 현상까지 등장했다. 그런데 노년이 아름답다니? 부제인 '새로운 미의 탄생'의 의미 또한 궁금해진다.
2018-10-05
중장년층의 현역활동을 지원하는 <신중년 인생3모작 박람회>가 9월 11일 SETEC 제3전시장에서 열렸다. 많은 프로그램 가운데서도 '인생 3모작 특강관'은 인생 2,3모작에 안착한 선배들의 생생한 경험을 가득담은 강의들로 채워져 인생의 전환을 꿈꾸는 이들의 발길을 끌었다 .그 중에서도 서울시50플러스 남부캠퍼스의 장필규 컨설턴트는 인생 4모작을 성공으로 이끈 경험을 토대로 알짜배기 노하우를 소개해 참여가 높았다.
2018-10-02
“마을 요정” 정릉 주민들이 최연희 씨를 부르는 애칭이다. 이름도 재미있는 ‘정말기록당’(정릉 마을기록 주민이야기마당)의 총괄, 간사, 실무 등 1인 다역을 맡고 있는 마을기록가 최연희 씨를 만났다. 마을 주민으로, 때로는 성북구청과 정릉동의 계약직 공무원으로 마을 관련 일을 해 온 지 7년째인 최연희 씨. 그녀에게 아직은 생소한 마을기록가가 어떤 일을 하는 사람인지 부터 물었다.
2018-10-02
단풍을 찾아가는 여행객들 속에 파묻혀 보내기보다 한번쯤은 인적이 드문 곳에서 여유롭게 길을 걸어보면 어떨까 싶다.
2018-10-02
“자식들이라고 왜 부모들과 소통하고 싶지 않았겠어요? 아무리 노력해도 결국은 안 되니까 그냥 귀를 막고 말문을 닫는 거지요. 어른들이 말하는 소통의 의미는 알고 보면 그냥 내 말을 끝까지 잘 듣고 맞장구나 쳐달라는 거예요!”
2018-10-02
필자는 강사생활을 하면서, 삶의 중요한 몇 가지 영역(*‘생애설계 영역’이라고 칭함)을 설정하여 인생 2~3막의 삶의 설계를 지원하는데, 이름하여 ‘생애설계’, ‘인생설계’, 혹은 ‘퇴직설계’이다. 필요에 의해, 많은 전문교육기관이나 기업, 기관 등에서 4~14개까지 설정해둔 ‘생애설계 영역’의 빈도를 분석해보았다.
2018-10-02